국내 대학 첫 시각장애 여성 박사 탄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10-12-24 15:59 조회8,756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국내 대학 첫 시각장애 여성 박사 탄생 윤상은 씨,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서 박사학위 받아

여성 시각장애인이 외국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사례는 있지만, 국내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는 것은 이번이 최초다. 더욱이 그동안 국내외에서 배출된 시각장애인 박사들의 평균 연령이 30대 후반에서 40대 전후인 것에 비해 윤 씨는 올해 만 29세로 ‘최연소 시각장애인 박사’의 타이틀까지 갖게 됐다.
윤 씨는 초등학교 6학년 무렵, 시각장애인이자 미국 백악관 정책차관보를 역임한 강영우 박사의 강연을 듣고 비록 시각장애가 있다 하더라도 못 이룰 꿈은 없다고 생각하고 장애인을 위한 연구를 통해 사회에 공헌하고 싶다는 꿈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1.2킬로그램의 작은 몸무게로 8개월 만에 세상에 태어난 윤 씨는 인큐베이터 안에 있던 중 산소가 과잉 공급돼 ‘미숙아 망막증’을 앓고 시력을 잃었다.
그는 연구 활동을 하면서 장애인이라면 학력이 낮을 것이라는 편견과는 달리 고학력의 장애인들이 많음을 알고, 이 문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해 <고학력 장애인의 직업관련 인식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라는 논문으로 2011년 2월 대구대학교에서 이학박사학위를 받는다.
윤 씨는 이 논문을 쓰기 위해 1년 동안 전국의 모든 장애인 연합회와 복지관, 장애인단체 등을 찾아다니며 일일이 설문 조사를 하는 등 철저한 기초 조사와 문헌 조사를 했다.
지도교수인 이달엽(대구대 직업재활학과) 교수는 “도전적인 자세로 적극적으로 학업에 참여하고 어학공부에도 열의를 보이는 등 장애를 지니지 않은 동료학생들에게도 모범이 되는 학생이었다”고 말했다.
이러한 열정으로 교원자격증(특수직업교사)과 직업재활사 자격증(2급), 사회복지사 (2급) 자격증을 취득했으며 대학교를 졸업하던 2004년 2월에는 틈틈이 써 온 글들을 묶어서 '손끝으로 세상 보기' 라는 책을 펴내기도 했다.
윤 씨는 “고학력 장애인도 전문 지식인으로서 지식 기반 사회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전문가로 사회의 중심 일꾼이 될 수 있다”며 “장애인들이 경제적인 여건에서 뿐 아니라 문화적 혜택과 여가 활동 등 사회전반에 걸쳐 활발한 활동과 참여로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