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장애인연맹(DPI)(이하 한국DPI)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가 지난 8일부터 제주를 시작으로 장애인생활시설에서 장애인에게 가해지고 있는 인권탄압의 실상을 알리고,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법률 제정을 촉구하는 '탈시설과 장애인자립생활보장법제정촉구를 위한 국토대장정'에 들어간 가운데 국토대장정팀이 13일 오전 10시 창원시 의창구 용호동 정우상가 앞에서 '경남지역 결의대회'를 열었다.

참가자들은 이날 대장정 취지문에서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다양한 사람들과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그 과정 속에서 성장하고 발전해 간다"며 "때문에 인간에게 있어 '사회와의 격리'는 인간의 고유성 말살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탈시설과 장애인 자립 생활 보장법제정촉구를 위한 국토대장정 경남결의대회가 134일 오전 창원 정우상가 앞에서 열렸다.한국DPI와 경남DPI,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 회원들이 구호를 외하고 있다. /김구연 기자  

참가자들은 "장애인도 인간이며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권리가 있다"며 "그러나 이 땅의 많은 장애인들은 시설에 수용돼 사회로부터 분리되고 배제당하며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권리를 제한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참가자들은 "때문에 장애인의 인권을 담보하기 위한 첫걸음은 시설수용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정책의 모색"이라며 "그 대안은 시설지원 정책이 아닌 '장애인자립생활지원 정책'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참가자들은 특히 "'장애인자립생활지원'을 위해서는 활동보조서비스, 자립생활체험홈, 주거지원, 동료상담 등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며 "그 대책의 시작은 '장애인자립생활'의 내용을 온전히 담아낼 수 있는 '장애인자립생활보장법' 제정"이라고 덧붙였다.

이 밖에도 참가자들은 정부가 반인권적 시설을 즉각 해체하고 폐쇄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참가자들은 이날 결의대회를 마치고 창원 만남의 광장까지 1.8㎞ 행진을 하면서 '반인권적인 시설의 해체'와 '장애인자립생활보장법 제정'을 촉구했다.

한편, 국토대장정팀은 앞으로 대구·대전·수원 등을 거쳐 28일 서울시청 별관 앞에서 해단식과 결의대회를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