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장애인연맹(DPI)과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가 지난 8일 제주를 시작으로 장애인생활시설에서 장애인에게 가해지는 인권탄압의 실상을 알리고, 자립생활 지원을 위한 법률 제정을 촉구하는 '탈시설과 장애인자립생활보장법 제정 촉구를 위한 국토대장정'에 들어간 가운데 국토대장정팀 19명이 13일 오전 10시 창원시 의창구 용호동 정우상가 앞에서 '창원 결의대회'를 열었다.
참가자들은 이날 취지문에서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다양한 사람들과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그 과정에서 성장하고 발전해 간다"며 "때문에 인간에게 '사회와의 격리'는 인간의 고유성 말살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 |
||
탈시설과 장애인 자립 생활 보장법 제정 촉구를 위한 국토대장정 경남결의대회가 13일 오전 창원 정우상가 앞에서 열렸다. 한국DPI와 경남DPI, 한국장애인자립생활센터총연합회 회원들이 거리행진을 하고 있다. /김구연 기자 |
참가자들은 "장애인도 인간이며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권리가 있다"며 "그러나 이 땅의 많은 장애인은 시설에 수용돼 사회로부터 분리되고 배제당하며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권리를 제한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때문에 장애인의 인권을 담보하기 위한 첫걸음은 시설 수용이 아니라 지역사회에서 함께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정책의 모색"이라며 "대안은 시설지원 정책이 아닌 '장애인 자립생활 지원 정책'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참가자들은 특히 "'장애인 자립생활지원'을 위해서는 활동보조서비스, 자립생활체험 홈, 주거지원, 동료 상담 등을 아우르는 종합 대책이 필요하다"며 "대책의 시작은 '장애인자립생활보장법' 제정"이라고 덧붙였다.
박태봉 경남장애인연맹 회장은 이날 "젊은 사람과 노인들이 각각 군대와 노인보호시설에 들어가기 싫어하는 까닭은 자신의 인생을 집단수용소에서 말살당하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이라며 "장애인들이 수용시설에 있다가 '적당한 시기'에 사라지기를 바랄 게 아니라 이웃과 함께 인생을 즐기면서 살아갈 수 있도록 고민을 해달라"라고 말했다.
허정도 도시디자인포럼 회장도 "장애인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 모두를 위해서도 도시시설이 '유니버설'한 디자인으로 바뀌어야 한다"며 "우리도 늙을 것인데, 그때 우리에게도 편리할 것이기 때문이다. 장애인들을 시설 안에서 사회와 격리할 것이 아니라 이들이 세상 속으로 나와 장애를 극복해갈 수 있는 날이 하루 속히 오기 바란다"고 격려했다.
참가자들은 이날 결의대회를 마치고 창원 만남의 광장을 거쳐 밀양 수산초교까지 40㎞ 거리를 행진하면서 '반인권적인 시설의 해체'와 '장애인 자립생활 보장법 제정'을 촉구했다.
국토대장정팀은 앞으로 대구·대전·수원 등을 거쳐 28일 서울시청 별관 앞에서 해단식과 결의대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편, 2010년 12월 현재 전국에는 장애인 생활시설 452곳에 2만 4395명이 수용돼 있으며, 경남 지역은 28곳 1499명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