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 장애인고용 효과 '뻥튀기'(에이블뉴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11-09-20 13:33 조회10,403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한국도로공사 장애인고용 효과 '뻥튀기'
5년간 신규입사 15명…재직 중 직원이 전환 71명
정희수 의원, “장애인 의무고용 취지 무색” 질타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1-09-19 14:05:43
한국도로공사의 장애인고용 창출 효과가 부풀려졌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토해양위원회 정희수 의원(한나라당)은 19일 한국도로공사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최근 5년간 등록 된 총 86명의 장애인 중 신규입사자는 15명으로 17.4%에 불과했다”면서 “나머지 71명은 재직 중이던 직원이 장애인으로 등록했다”고 밝혔다.
소속 직원 중 장애인으로 등록되는 경우는 재직 중 장애를 갖게 돼 등록하는 경우 외에 장애를 숨기고 비정규직으로 입사한 후 정규직으로 전환된 후 장애를 밝히는 경우가 다수였던 것.
실제 한국도로공사에 재직 중인 김모씨는 입사 전인 1999년 장애판정을 받은 후 2002년 한국도로공사에 비정규직으로 입사했다. 하지만 2007년 정규직으로 전환되면서 공사에 장애인 등록을 마쳤다.
1997년 입사한 정모씨도 2000년 장애인 등록 후 한국도로공사에서 근무한지 10년이 지난 2010년에야 장애인 등록을 마쳤다.
정 의원은 “한국도로공사는 정부로부터 약 7억원의 장애인 고용장려금을 수령하는 등 비교적 모범적으로 장애인고용을 유지해 왔지만 실질적으로 신규입사자는 15명으로 17.4%에 불과해 실질적인 고용창출 효과는 물론, 장애인 의무고용 취지 자체를 무색케 한다”고 질타했다.
정 의원은 또한 “장애인임에도 차별 등이 두려워 밝히길 꺼려하는 직원이 없도록 차별 없는 조직문화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국토해양위원회 정희수 의원(한나라당)은 19일 한국도로공사 국정감사 자료를 통해 “최근 5년간 등록 된 총 86명의 장애인 중 신규입사자는 15명으로 17.4%에 불과했다”면서 “나머지 71명은 재직 중이던 직원이 장애인으로 등록했다”고 밝혔다.
소속 직원 중 장애인으로 등록되는 경우는 재직 중 장애를 갖게 돼 등록하는 경우 외에 장애를 숨기고 비정규직으로 입사한 후 정규직으로 전환된 후 장애를 밝히는 경우가 다수였던 것.
실제 한국도로공사에 재직 중인 김모씨는 입사 전인 1999년 장애판정을 받은 후 2002년 한국도로공사에 비정규직으로 입사했다. 하지만 2007년 정규직으로 전환되면서 공사에 장애인 등록을 마쳤다.
1997년 입사한 정모씨도 2000년 장애인 등록 후 한국도로공사에서 근무한지 10년이 지난 2010년에야 장애인 등록을 마쳤다.
정 의원은 “한국도로공사는 정부로부터 약 7억원의 장애인 고용장려금을 수령하는 등 비교적 모범적으로 장애인고용을 유지해 왔지만 실질적으로 신규입사자는 15명으로 17.4%에 불과해 실질적인 고용창출 효과는 물론, 장애인 의무고용 취지 자체를 무색케 한다”고 질타했다.
정 의원은 또한 “장애인임에도 차별 등이 두려워 밝히길 꺼려하는 직원이 없도록 차별 없는 조직문화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