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장애인 이동권 침해하는 중앙일보 사과하라” (비마이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무국 작성일12-06-13 16:21 조회8,358회 댓글0건

본문

장애인 이동권 침해하는 중앙일보 사과하라”

전장연 등, 중앙일보 보도 규탄 기자회견 열고 공식사과 요구
"이동권은 버스타고 싶을 때 버스, 택시 타고 싶을 때 택시 타는 것" 2012.06.12 18:40 입력 | 2012.06.12 20:08 수정

13394937563751.jpg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등은 12일 늦은 2시 중앙일보 본사 앞에서 ‘저상버스 도입 관련 왜곡 보도한 중앙일보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장애인이동권을 요구한 지 10년이 넘었습니다. 이동권 투쟁 당시 정부와 각 부처 관계자들은 저상버스는 우리나라 지형에 맞지 않으니 도입할 수 없다고 했습니다. 이러한 우리들의 오래된 요구이자 눈물의 결과가 중앙일보 보도로 산산이 깨어지는 느낌입니다!”


중앙일보가 6월 6일자 19면에 보도한 '장애인에게 불편하네요… 장애인 위한 저상버스'라는 제목의 기사에 장애인단체의 반발이 거세다.


13394942667827.jpg
▲중앙일보 6월 6일 자 신문에 보도된 “장애인에게 불편하네요… 장애인 위한 저상버스”
중앙일보는 이 기사에서 “정부가 장애인들이 잘 이용하지도 않는 저상버스 확대를 강행해 논란이 되고 있다”라며 “저상버스보다 저렴하고 이용하기 편한 장애인콜택시를 보급해야 한다”라는 내용의 기사를 보도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아래 전장연), 장애인이동권연대,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아래 장추련) 등은 중앙일보의 이번 보도가 장애인의 이동권을 심각하게 침해한다고 지적하며 12일 늦은 2시 중앙일보 본사 앞에서 ‘저상버스 도입 관련 왜곡 보도한 중앙일보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전장연은 중앙일보 기사가 △저상버스 도입문제를 장애인단체와 정부 간의 논란으로 보도 △'대다수 장애인은 버스 대신 지하철이나 콜택시를 이용한다'라는 취재원의 입장을 왜곡해 사용 △‘저상버스보다 장애인콜택시 도입이 더 효율적’이라고 주장하기 위해 비용 문제를 의도적으로 왜곡 △저상버스 이용의 불편함을 근거로 저상버스 도입에 대한 정당성을 왜곡 △저상버스 고장 등 여러 불편한 사항을 잘못 풀이한 점 등을 지적했다. 전장연은 이에 대해 중앙일보의 공식사과와 정정보도를 요구했다.


전장연은 기자회견문에서 “정부가 2016년까지 시내버스 41.5%를 저상버스로 교체하겠다는 계획은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에 따른 것”이라며 “2016년 41.5%를 목표로 세운 이 계획은 애당초 정부가 2013년까지 50% 이상 도입하겠다고 약속한 도입률에서도 많이 후퇴한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전장연은 “저상버스 교체 계획을 정부가 강행하고 있다는 식으로 보도하는 것은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 입법 취지를 무시하는 것이자 교통약자의 이동권에 대한 무지를 드러내는 것”이라면서 “중앙일보는 교통약자이동편의증진법이 장애인들의 간절한 투쟁을 통해 만들어진 법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전장연 박경석 상임공동대표는 “2010년 말 저상버스 도입률은 전국적으로 12.8%, 서울시는 24.2%로 휠체어 이용 장애인이 탈 수 있는 버스는 열 대 중 한두 대밖에 안 된다”라면서 “(저상버스를) 눈뜨고 찾아볼 수 없는 현실적 상황을 전부 무시하고 장애인의 이용률이 낮으니 저상버스를 없애자는 논리로 이야기하는 중앙일보가 과연 책임 있는 언론사인가?”라고 되물었다.


13394938043788.jpg
▲전장연 박경석 상임공동대표가 "이러한 왜곡보도를 하는 중앙일보가 과연 책임 있는 언론사인가"라고 질타했다. 왼쪽은 이날 연대발언을 한 한국장총 은종군 정책국장.


박 상임대표는 “저상버스가 24.2% 도입됐으나 장애인이 이용할 수 없어 고철로 전락하고 있는데, 제대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100% 도입이 빨리 이뤄져야 한다”라며 “국토부 예산으로 편성된 저상버스 예산이 4대강 예산에 다 쓰이면서 노무현 정부 때 91.4%의 이행률을 보이던 저상버스 도입률이 이명박 정부 들어 35.3% 이행률로 떨어졌는데, 이는 장애인이동권이 4대강에 빠져 죽은 것”이라고 규탄했다.


또한 중앙일보가 서울대 강승필(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교수의 말을 빌려 “저상버스보다 저렴하고 이용하기에도 편한 장애인콜택시를 보급하는 게 더 효율적”이라고 보도한 것에 대해서도 '‘대중’ 교통의 사회적 의미와 교통약자 이동권을 고려하지 않은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박 상임대표는 “도입비용으로 보자면 장애인콜택시가 저상버스보다 저렴할지 모르나 결론적으로 이용자 부담을 생각하면 저상버스 도입이 필요하다”라면서 “수입이 전혀 없는 중증장애인이 이동하기 위해 하루 7천 원에서 만 원에 달하는 비용을 어떻게 부담하며 일상적으로 콜택시를 이용하느냐”라고 꼬집었다.


박 상임대표는 “지역마다 다르게 되어 있는 장애인콜택시 비용에 대한 정비도 필요하다”라면서 “또한 효율성의 논리로 비장애인과 장애인의 일상적 만남을 차단하고 있는데 일상적 만남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비장애인의 인식 개선이 최고의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13394938928206.jpg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박김영희 사무국장
장추련 박김영희 사무국장은 “장애인의 이동권은 장애인들이 버스를 타고 싶을 때 버스를 타고, 택시를 타고 싶을 때 택시를 타는 장애인의 결정권과 선택권에 대한 것”이라며 “중앙일보 기사는 이러한 권리가 차별받지 않고 인정받아야 하는 시대에 역행하는 어이없는 기사”라고 꼬집었다.


박김 사무국장은 “효율성에서 저상버스보다 택시가 낫다고 한다면 이것은 장애인을 이윤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라며 “장애인에게 이동권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배우지도, 일하지도 못하게 된 장애인은 결국 무능한 존재로 남을 수밖에 없어 자신의 삶을 스스로 결정하지 못하게 된다”라고 밝혔다.


이어 박김 사무국장은 “중앙일보 기사는 장애인 차별을 더욱 고착시키고 강화시키는 기사”라며 “장애인차별금지법을 통해 우리는 어떤 것이 장애인에 대한 차별인지 이야기하고 있으며 장애인 인권을 보장하지 않는 것들에 대해 참지 말자”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이날 기자회견에서 전장연 등은 “중앙일보가 취재원으로 택한 김데니 씨는 현재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아래 한국장총) 정책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지 않으며 그만둔 지 두 달이나 됐다”라며 “그런데 중앙일보는 김 씨를 한국장총 정책위원이라며, 김 씨 입장이 마치 대표적인 장애인 단체의 입장처럼 교묘하게 속여 보도하고 있다”라고 꼬집었다.


전장연 등은 “중앙일보 보도 이후 한국장총 입장을 확인한 결과, 한국장총 역시 시내버스를 저상버스로 100% 교체해야 한다고 밝혔다”라고 전했다.


이날 발언자로 나선 한국장총 은종군 정책국장은 “저상버스를 타기 위해 짧게는 30분, 길게는 4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상황에서 더욱 자유롭게 타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이러한 보도는 찬물을 끼얹는 것”이라며 “기사를 쓴 의도가 무엇인지 궁금하다”라고 꼬집었다.


은 정책국장은 “저상버스를 도입하기 위해서 현황파악이 필요한데 주변 환경 정비, 각종 기기 작동 확인,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등은 보도하지 않는다”라며 “마을버스, 고속버스, 시외버스 등에도 저상버스 도입 요구를 시작해야 한다”라고 제안했다.


기자회견을 마친 전장연 등의 단체는 공식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한 내용이 담긴 서면을 해당 기사를 쓴 중앙일보 사회부 1부에 전달했다. 서면을 전달받은 사회부 1부 강갑생 차장은 “책임자에게 전달 후 이번 주 내로 공식 답변을 주겠다”라고 답했다. 


13394939220918.jpg
▲기자회견을 마친 전장연이 공식사과와 정정보도를 요청한 내용이 담긴 서면을 중앙일보 사회부 1부에 전달했다.

13394940084363.jpg
▲중앙일보사 앞에서 중앙일보 보도 규탄 구호를 외치고 있는 장애인 활동가들의 모습.

13394939507381.jpg
▲"장애인에게 불편한 진실! 중앙일보 왜곡보도!" "장애인 이동권 축소음모, 중앙일보 규탄한다!" 중앙일보 규탄 피켓을 들고 있는 장애인 활동가들.